• 야생 동물의 68%가 사라졌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6527, 2020.10.12 10:33:37
  • 1970년에서 2016년 사이 지구의 야생 동물 개체군 크기가 68% 격감했다고 세계자연기금(WWF)이 런던 동물학회와 협력하여 쓴 보고서에서 밝혔다. 물고기에서 조류, 파충류에서 포유류까지 모든 생명체의 숫자가 훨씬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이는 단지 평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담수 생명체는 84% 사라졌다. 서식지 파괴와 삼림 벌채 때문이다. 한편 유럽전기산업협회는 2030년까지 80%의 전기가 비화석연료 기반일 것이며, 2020년 중반까지 전력의 3분의 2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8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2030년 온실가스 감축량인 현재의 40% 목표를 넘어 46%를 저감할 것으로 평가했다. 이런 조기 목표달성은 2014년 목표 채택 이후에 유럽연합에서 광범한 에너지 관련 입법이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조기 목표달성을 근거로 유럽연합은 2030년 55% 감축의 실현으로 나아가고 있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8666/43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32 2013.07.27
3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18 2013.08.19
3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25 2013.09.11
3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26 2013.09.11
3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87 2013.11.24
3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08 2013.12.16
3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065 2013.12.16
3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62 2014.01.25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75 2014.01.25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82 2014.01.25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44 2014.02.17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700 2014.02.17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38 2014.03.25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79 2014.04.24
3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30 2014.04.24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2 2014.05.20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33 2014.05.20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93 2014.06.22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06 2014.06.22
3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159 2014.07.1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