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란드 해빙(海氷)의 손실이 급변점을 넘었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6696, 2020.09.02 11:07:12
  •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저자들이 발표한 연구에서, 그린란드의 빙하는 급변점(tipping point)을 넘어, 해마다 덮이는 얼음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얼음을 보충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1980년대와 90년대에는 매년 녹는 얼음 4500억 톤이 내리는 눈에 의해 보충되었지만, 21세기에는 얼음이 점점 더 빨리 녹아 손실량이 매년 5000억 톤에 이르게 되어 더는 강설량으로 보충되지 않는다. 얼음이 녹으면 그로 인해 생긴 물이 태양의 복사열을 눈이나 얼음보다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얼음이 더 많이 녹는다. 얼음이 없어지면 영구동토층이 드러나 녹게 되고 이로 인해 강력한 온실가스를 대기로 방출해 더 많은 열을 가둔다. 그러므로 얼음이 녹는 것은 단순히 지구온난화의 징후만이 아니라 지구온난화의 새로운 동인이 된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8456/4ef/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6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64 2013.02.04
6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31 2011.03.20
6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22 2013.01.21
6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02 2012.05.07
6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694 2010.11.23
6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481 2012.03.21
6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83 2010.11.23
6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75 2011.05.02
6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70 2010.11.23
6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68 2012.04.22
6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89 2015.05.13
6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35 2010.11.24
6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05 2010.11.24
6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95 2010.11.24
6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88 2011.09.20
6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59 2011.06.27
6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59 2011.01.10
6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157 2012.07.25
6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098 2013.07.21
6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077 2010.11.2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