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로 북쪽으로 농업이 확대되면 배출 비용이 막대하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32, 2020.03.02 15:44:31
  • 미래 기후변화로 지구의 북쪽으로 농업에 적당한 지역이 늘어나면,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농업이 새로운 토지를 침식하는 만큼 토양으로부터 거대한 양의 이산화탄소 누출의 위험이 있다고 연구자들은 경고했다. 궬프 대학이 주도하고 PLOS One에 게재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미래 온난화 시나리오 하에서 현재 경작지의 30%에 해당하는 지구 면적이 농업에 적절한 땅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연구자들이 ‘최전선 토양’이라 부르는 이 거대한 땅이 경작된다면 177 Gt의 이산화탄소가 누출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미국이 한 세기 동안 배출하는 양에 해당한다. 이런 새로운 농업지의 대부분이 지금은 농업에 적합하지 않은 러시아와 캐나다에 집중적으로 존재한다. 지구 온도가 수십년 동안 상승한다면 밀, 감자, 옥수수 등의 곡물이 이 지역에서 경작하기 적합해질 것이다. 그래서 더 많은 농부들이 이 지역으로 진출하여 토지를 벗겨내고 갈아엎으면 지금은 토양 안에 갇혀 있는 탄소가 누출될 것이다. 고위도 토양에서의 탄소 누출은 온난화로 인해 이미 주요 근심거리이지만, 이 지역에 경작이 시작되었을 때 누출될 탄소량에 비하면 적은 양에 불과하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7601/132/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89 2013.02.24
4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84 2013.01.10
4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74 2013.07.03
4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63 2011.04.23
4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19 2010.11.23
4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16 2010.11.23
4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83 2010.11.24
4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63 2010.11.23
4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62 2010.11.23
4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60 2010.11.24
4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45 2010.11.23
4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09 2010.11.23
4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75 2010.11.24
4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65 2010.11.23
4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41 2012.08.22
4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701 2010.11.23
4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86 2010.11.25
4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55 2010.12.08
4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50 2011.03.14
4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32 2013.07.27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