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주민 지역과 보호 구역의 탄소 배출량이 아마존에서 가장 적어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679, 2020.01.31 14:21:59
  • 아마존 우림 지역 내의 원주민 지역 및 보호 구역은 열대우림의 총 탄소 배출량 중의 10%만을 배출하고 있다고 연구자들이 발표했다. 나무들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이지만 베어진 후에는 불에 타거나 썩을 때 탄소를 방출한다. 미국 국립과학원 저널의 초록에서 발표된 연구는 2003~2016년에 아마존은 대기에 탄소를 배출하는 소스가 되었다고 한다. 이 지역의 흡수와 방출을 계산하면 12.9억톤의 탄소를 배출한다. 이전의 연구는 산림전용(deforestation)에 의한 탄소 배출만 주로 초점을 맞추었지만 새로운 연구는 가뭄과 같은 자연적 요소만이 아니라 숲의 성장을 통한 탄소 흡수도 고려한다. 위성 촬영과 현장 방문으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한 이 연구는 아마존의 3분의 1이 원주민의 토지인데, 원주민의 토지가 가장 낮은 순탄소손실을 낸 것은 이곳의 나무 생장 때문이라고 밝혔다. 순 배출의 90%는 원주민 및 보호 구역 밖에서 나왔다. 탄소 관점에서 발견한 점은 보호 구역 토지와 원주민 지역이 특히 산림전용과 연관된 탄소 배출 증가를 상쇄하는 데 엄청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https://www.reuters.com/article/us-climate-change-forests-amazon-trfn/amazon-emissions-lowest-from-indigenous-and-protected-lands-scientists-say-idUSKBN1ZQ2A3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7330/d44/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39 2017.11.14
3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79 2018.04.24
3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81 2017.11.20
3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36 2017.11.17
3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58 2017.11.17
3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75 2014.01.25
3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94 2020.11.19
3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32 2020.11.19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44 2014.02.17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92 2020.11.19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27 2020.10.12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36 2020.10.12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69 2010.11.23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75 2020.10.12
3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79 2020.11.19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2 2020.09.02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9 2020.10.12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5 2020.09.02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6 2020.10.12
3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0 2020.10.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