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인도의 식량 생산에 주는 영향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87, 2019.07.17 16:10:06
  • 카일 데이비스는 환경 데이터학자로서 개발도상국에서 식량 공급을 늘리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는 환경과학과 데이터과학을 결합하여 세계 식량 시스템을 이해하고 영양가 높은 식량의 공급망이 지속할 있게 하는 전략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다. 그가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인도의 주곡 5가지 기장, 수수 옥수수는 극단적인 날씨에도 회복 탄력적이었다. 기후의 연간 변화와 비교해 소출이 적게 변했고 가뭄에도 감소 폭이 작았다. 그러나 인도의 주식인 쌀은 극단적인 날씨 조건에서 심하게 감소했다. 쌀에만 의지하는 인도의 식량 공급은 기후변화에 잠재적으로 취약하다. 쌀이 아닌 대체 곡물을 경작하는 면적으로 넓히면 극단적 기후에 의한 곡물 생산의 변화 폭을 줄일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이 가뭄이나 극단적인 날씨에도 13억이 넘는 인구를 부양하는 것을 어렵게 것이다.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19/06/190617164712.htm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6291/7b5/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30 2018.11.29
1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28 2020.01.31
1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20 2020.01.31
1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84 2019.10.24
1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80 2020.01.31
1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70 2018.09.18
1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2 2018.07.11
1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4 2018.07.11
1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4 2018.07.11
1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9 2019.10.24
1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6 2020.03.02
1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3 2020.03.02
1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0 2018.11.29
1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7 2018.07.11
1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2 2020.03.02
1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98 2019.10.24
1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2 2019.08.16
1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5 2018.07.11
1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8 2020.03.02
1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3 2020.03.0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