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인도의 식량 생산에 주는 영향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87, 2019.07.17 16:10:06
  • 카일 데이비스는 환경 데이터학자로서 개발도상국에서 식량 공급을 늘리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는 환경과학과 데이터과학을 결합하여 세계 식량 시스템을 이해하고 영양가 높은 식량의 공급망이 지속할 있게 하는 전략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다. 그가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인도의 주곡 5가지 기장, 수수 옥수수는 극단적인 날씨에도 회복 탄력적이었다. 기후의 연간 변화와 비교해 소출이 적게 변했고 가뭄에도 감소 폭이 작았다. 그러나 인도의 주식인 쌀은 극단적인 날씨 조건에서 심하게 감소했다. 쌀에만 의지하는 인도의 식량 공급은 기후변화에 잠재적으로 취약하다. 쌀이 아닌 대체 곡물을 경작하는 면적으로 넓히면 극단적 기후에 의한 곡물 생산의 변화 폭을 줄일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이 가뭄이나 극단적인 날씨에도 13억이 넘는 인구를 부양하는 것을 어렵게 것이다.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19/06/190617164712.htm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6291/d9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40 2012.07.10
4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00 2012.11.28
4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63 2010.11.24
4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52 2010.11.24
4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44 2010.11.24
4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41 2010.11.24
4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33 2010.11.23
4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10 2010.11.23
4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08 2010.11.23
4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93 2010.11.24
4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90 2010.11.23
4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50 2010.11.24
4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20 2011.01.17
4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15 2010.11.23
4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12 2010.12.08
4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02 2010.11.23
4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70 2010.11.23
4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63 2010.11.24
4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26 2010.11.23
4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19 2011.01.1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