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뭄이 아니라 폭염이 곡물 생산을 가장 감소시킬 것이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8, 2019.06.13 11:09:36
  • 미국 코넬 대학의 연구자들은, 기후변화가 일으킨 스트레스가 가뭄 스트레스보다 21세기 미국 곡물 생산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 기타 자료원으로부터 구한 수십 년에 이르는 자료를 사용하여 옥수수, 면화, 수수, 대두, 봄밀과 겨울밀의 작황 모델을 만들었다. 토양 습도가 지난 40년간의 연간 작황 변화의 예측에 가장 좋은 인자였고 수확량은 특히 성장기 중간의 가뭄 스트레스에 민감했다. 그들은 가벼운 변화에서 심각한 변화에 걸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스트레스로 해석되는 온도 변화가 2050~2100 작황의 일차 인자라고 밝혔다. 가장 가벼운 변화에서는 8~19% 소출 감소가, 가장 심각한 변화에서는 20~48% 감소가 예측되었다. 옥수수와 봄밀에 가장 피해가 오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수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민감하다고 평가되었다.

    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19-06/cu-hnd060319.php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6141/a60/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145 2010.11.25
2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149 2011.03.07
2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180 2010.11.24
2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202 2010.11.23
2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218 2010.11.24
2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281 2012.04.23
2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336 2010.11.24
2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355 2010.12.08
2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370 2011.04.21
2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39 2010.11.23
2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40 2010.11.24
2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61 2011.01.10
2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03 2010.11.24
2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05 2012.11.06
2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10 2013.07.03
2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51 2010.11.23
2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74 2010.11.24
2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97 2012.04.23
2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35 2010.11.23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57 2010.11.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