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뭄이 아니라 폭염이 곡물 생산을 가장 감소시킬 것이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89, 2019.06.13 11:09:36
  • 미국 코넬 대학의 연구자들은, 기후변화가 일으킨 스트레스가 가뭄 스트레스보다 21세기 미국 곡물 생산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 기타 자료원으로부터 구한 수십 년에 이르는 자료를 사용하여 옥수수, 면화, 수수, 대두, 봄밀과 겨울밀의 작황 모델을 만들었다. 토양 습도가 지난 40년간의 연간 작황 변화의 예측에 가장 좋은 인자였고 수확량은 특히 성장기 중간의 가뭄 스트레스에 민감했다. 그들은 가벼운 변화에서 심각한 변화에 걸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스트레스로 해석되는 온도 변화가 2050~2100 작황의 일차 인자라고 밝혔다. 가장 가벼운 변화에서는 8~19% 소출 감소가, 가장 심각한 변화에서는 20~48% 감소가 예측되었다. 옥수수와 봄밀에 가장 피해가 오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수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민감하다고 평가되었다.

    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19-06/cu-hnd060319.php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6141/364/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78 2014.07.14
3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942 2014.07.14
3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07 2014.07.15
3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164 2014.08.10
3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23 2014.08.10
3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58 2014.08.10
3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64 2014.10.14
3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992 2014.10.15
3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01 2014.11.22
3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38 2014.11.22
3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96 2014.11.22
3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093 2014.12.14
3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64 2014.12.14
3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734 2015.05.12
3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851 2015.05.12
3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16 2015.05.13
3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331 2015.08.02
3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724 2015.08.02
3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631 2016.03.21
3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826 2016.03.21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