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력의 가스 변환이 태양광 기반 에너지 계통에 필수적이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37, 2019.03.06 10:26:06
  • 인프라 전망 2050 연구는, 야심 찬 EU 기후 목표가 전력과 가스 인프라를 통합하고 전력의 가스 변환(power-to-gas)기술이 재생에너지를 지원함으로써만 성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세 가지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 지역 단위 - 분산 재생에너지에 집중한다. 지역에서는 대량의 태양광을 보급하여 에너지 독립을 추구하고 높은 전기화를 성취한다. 그리고 대량의 배터리 저장으로 주·야간 간헐성을 커버하고 계절적 수요 공급 불일치는 전력의 수소화로 커버한다.
    • 국가 단위 - 집중화된 재생에너지 생산에 집중한다. 집중화된 풍력에너지 생산과 최종에너지의 전기화에 강조점을 둔다. 풍력 생산이 적은 시간대에는 수소나 메탄이 백업 발전소 연료로 사용될 것이다.
    • 국제적 협력 – 에너지 무역에 집중한다. 세계의 태양광과 풍력 생산 최적지에서 다량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이 재생에너지는 메탄, 수소 혹은 녹색 액체연료 형태로 수입한다.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5711/2e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7 2020.06.05
1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3 2020.06.05
1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 2020.06.05
1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4 2020.06.05
1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1 2020.06.05
1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4 2020.06.05
1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1 2020.07.07
1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9 2020.07.07
1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15 2020.07.07
1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80 2020.07.07
1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49 2020.07.07
1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32 2020.07.07
1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8 2020.09.02
1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57 2020.09.02
1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26 2020.09.02
1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2 2020.09.02
1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5 2020.09.02
1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56 2020.09.02
1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96 2020.09.02
1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36 2020.10.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