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가-조립 나노물질이 더 효율 높은 태양광 소자를 만든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80, 2019.03.06 10:21:36
  • 현재의 태양광 소자의 이론적 효율 한계는 33%이다. 뉴욕 시립대학교의 고급과학연구소(Advanced Scientific Research Center)에서 개발한 새로운 나노물질은 태양광 소자의 이론적 한계를 44%까지 끌어올린다고 발표했다. 산업용 염료에서 흔히 사용되는 분자 일부를 변형하여 자가-조립(self-assembling) 일으키게 하면 생성된 전자의 여기상태(들뜬상태) 수명이 늘어나게 되어 태양광 소자가 전자를 모을 시간이 길어져 소자의 효율이 높아진다. 

    https://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19-01/asrc-sno012419.php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5698/11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5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0 2019.10.24
5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0 2019.10.24
5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2 2019.08.16
5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36 2019.08.16
5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2 2019.08.16
5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0 2019.08.16
5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2 2019.08.16
5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4 2019.08.16
5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3 2019.08.16
5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8 2019.07.17
5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59 2019.07.17
5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5 2019.07.17
5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 2019.07.17
5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4 2019.07.17
5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0 2019.07.17
5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 2019.07.17
5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7 2019.07.17
5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6 2019.06.13
5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8 2019.06.13
5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41 2019.06.1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