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저부하는 독이다 ― 독일의 에너지 전환에서 얻는 교훈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741, 2018.07.11 10:07:54
  • 기저부하 발전은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 대한 답이 아니며 에너지 저장도 답이 아니라고, 독일의 에너지 관련 관리가 말하였다. 독일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기저부하 발전이나 배터리 없이 수요의 100%를 충당하는 순간을 몇 차례 성취하였다. 독일은 이것을 에너지 체계의 유연성으로 성취할 수 있었다고, 독일의 연방 산업에너지부 에너지정책국의 토르스텐 헤르단 국장이 말했다.


    1. 유연성이 기저부하 필요성을 없앤다; 독일의 에너지 전환에서 기저부하는 독이다. 필요한 것은 유연성이다. 태양이 비치지 않을 때, 바람이 불지 않을 때 같은 경우에 필요한 것은 그 갭을 채울 유연성이다. 예전에는 기저부하가 석탄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제공되고 첨두부하를 천연가스 발전이 책임졌다. 그러나 유연성은 기저부하 및 첨두부하와 같은 오래된 개념을 대신했고, 그 유연성은 첨두 가스발전, 배터리, 수요 관리 및 지역 간 전기 교환과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2. 유연성이 에너지 저장보다 중요하다; 독일의 에너지 전환에서 에너지 저장이 늘어날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그는, “에너지 저장 수요가 증가할지는 알 수 없다. 내가 아는 것은 유연성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고, 그것도 극적으로 늘어나리라는 것이다. 만약 에너지 저장이 가장 저렴한 유연성의 방법이라면, 시장은 에너지 저장을 선택할 것이고, 그 경우에만 에너지 저장이 증가할 것이다. 모든 것은 유연성으로 귀결된다. 에너지 저장은 그를 위한 하나의 방편일 뿐이다.


    https://www.forbes.com/sites/jeffmcmahon/2018/06/10/baseload-is-poison-and-5-other-lessons-from-germanys-energy-transition/#54d4037a6f88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5001/717/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47 2021.12.29
2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25 2021.12.29
2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47 2021.12.29
2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96 2018.09.18
2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95 2021.12.29
2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41 2019.12.26
2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6 2018.06.12
2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1 2018.09.18
2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82 2018.06.12
2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00 2018.10.24
2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94 2018.08.02
2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6 2019.10.24
2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9 2019.06.13
2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0 2021.03.12
2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87 2019.11.20
2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0 2018.08.02
2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9 2018.10.24
2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5 2018.09.18
2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1 2019.12.26
2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39 2019.12.26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