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23)] - 둘째날 (2017. 11. 07) 주요 일정 및 내용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6800, 2017.11.14 17:30:29

  •                                            <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일째 주요 일정 및 내용 >


                                                                                                                                                   (Earth Negotiation Bulletin1) 회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정리)

     

    23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3) 이튿날인 7 내내 이행부속기구(SBI) 회의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SBSTA) 소그룹회의, 파리협정특별작업반 회의의 비공식적인 협의체의 공동 회의가 이루어졌습니다. 당일 오전에는 파리협정 특별작업반(APA) 회의가 진행되었으며, 오후에는 파리협정의 당사국회의와 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CMP) 재개되었습니다.

    이행부속기구(SBI) 회의와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SBSTA ) 회의에서는 파리협정의 조항에 대한 여러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자발적 감축 목표(NDC) 달성 방안 마련 필요

    농업 관련 실행 방안 구체화

    기후변화 적응 위원회(Adaptation Committee) 제도적인 장치와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방법론에 대한 재검토 제안

    성공적인 기금들의 사례 검토


    파리협정특별작업반 회의의 비공식적인 협의체의 회의에서는 재정관련 이슈가 제안되었습니다.

    파리협정의 9.5항에 해당되는 내용인 개발도상국에 대한 재정 지원에 대한 빠른 진전 요청

    적응기금(Adaptation Fund) 관리와 제도적 장치의 재정비


    오전에 개최된 파리협정 특별작업반(APA) 회의에서는 23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절차와 예측되는 성과에 대한 여러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회의 진행 절차에 대한 의견 수렴 필요성

    회의의 융통성’ (특히, 파리협정 특별작업반 회의에서 강조)

    모든 경제 분야의 의견 반영을 위해 기업들을 포괄하는 회의의 추가


    오후에 열린 파리협정의 당사국회의에서는 파리협정의 조항과 관련된 의제와 아프리카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한 국가들에 대한 논의 촉진적 대화(Facilitative Dialogue)’ 진행방향에 대한 토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와 더불어 폴란드에서 개최될 24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대한 소개도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장기적인 재정 지원에 대해서 활발히 논의되었습니다.

    적응과 감축의 50 50 으로 균형있는 재정 지원 필요

    적응기금(Adaptation Fund) 공공 재정 지원으로의 구체적 방안 필요

    저탄소 금융을 위한 UNFCCC 재정 지원 메커니즘의 중요성 강조


    이어 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CMP)에서는 청정개발체제(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1) http://enb.iisd.org/download/pdf/enb12705e.pd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3231/d5d/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64 2020.12.23
4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76 2020.12.23
4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78 2020.12.23
4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79 2020.12.23
4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79 2020.12.23
4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97 2020.12.23
4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98 2020.12.23
4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02 2020.12.23
4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9 2020.12.23
4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8 2020.09.02
4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9 2020.07.07
4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15 2020.07.07
4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1 2020.07.07
4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65 2018.03.05
4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76 2019.04.03
4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29 2018.03.05
4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57 2020.09.02
4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80 2020.07.07
4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26 2018.03.05
4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32 2020.07.07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