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플라스틱 총생산량 83억톤 대부분 쓰레기로 버려져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939, 2017.07.25 18:36:17
  • 폴리옥시벤자일메틸렌글리콜란하이드리드(polyoxybenzylmethylenglycolanhydride)라는 긴 화학명을 가진 최초의 인공 플라스틱 ‘베이클라이트’(Bakelite)가 합성된 건 1907년이다. 벨기에계 미국인인 레오 베이클랜드는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베이클라이트를 합성했다. 하지만 플라스틱이 본격적으로 확산한 건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다. 세상에 등장한 뒤 플라스틱은 건축자재인 철과 시멘트 정도를 예외로 하고 인공 소재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특히 일회용 포장재료로 주로 쓰여 국민소득 중상위권 국가의 도시고형폐기물에서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율이 1960년대 1%에서 2005년 10%까지 급증했다. 플라스틱은 생분해되지 않아 영구히 제거하려면 연소나 열분해 등 열처리를 해야 한다. 2010년 한해만 바다로 흘러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 양이 400만~12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등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오염은 심각하다. 플라스틱은 그동안 얼마나 생산되고, 얼마나 버려졌을까?...[원문보기]


    (한겨레, 2017.07.20, 이근영 선임기자)


    b5f10362264b68264b88c0c611cc660f.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3/172889/42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94 2017.08.10
2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08 2017.08.10
2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66 2017.08.10
2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88 2017.08.10
2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28 2017.08.17
2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05 2017.08.17
2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09 2017.08.17
2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77 2017.08.17
2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68 2017.08.28
2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704 2017.08.28
2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706 2017.08.28
2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251 2017.08.28
2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6 2017.09.04
2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50 2017.09.04
2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3 2017.09.04
2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68 2017.09.04
2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977 2017.09.04
2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62 2017.09.11
2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05 2017.09.11
2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09 2017.09.11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