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플라스틱 총생산량 83억톤 대부분 쓰레기로 버려져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939, 2017.07.25 18:36:17
  • 폴리옥시벤자일메틸렌글리콜란하이드리드(polyoxybenzylmethylenglycolanhydride)라는 긴 화학명을 가진 최초의 인공 플라스틱 ‘베이클라이트’(Bakelite)가 합성된 건 1907년이다. 벨기에계 미국인인 레오 베이클랜드는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베이클라이트를 합성했다. 하지만 플라스틱이 본격적으로 확산한 건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다. 세상에 등장한 뒤 플라스틱은 건축자재인 철과 시멘트 정도를 예외로 하고 인공 소재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특히 일회용 포장재료로 주로 쓰여 국민소득 중상위권 국가의 도시고형폐기물에서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율이 1960년대 1%에서 2005년 10%까지 급증했다. 플라스틱은 생분해되지 않아 영구히 제거하려면 연소나 열분해 등 열처리를 해야 한다. 2010년 한해만 바다로 흘러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 양이 400만~12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등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오염은 심각하다. 플라스틱은 그동안 얼마나 생산되고, 얼마나 버려졌을까?...[원문보기]


    (한겨레, 2017.07.20, 이근영 선임기자)


    b5f10362264b68264b88c0c611cc660f.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3/172889/c7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 2017.03.22
3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8 2017.03.22
3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 2017.03.22
3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8 2017.03.29
3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0 2017.03.29
3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9 2017.04.05
3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6 2017.04.05
3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1 2017.04.13
2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0 2017.04.13
2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6 2017.04.13
2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5 2017.04.18
2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2 2017.04.18
2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5 2017.04.27
2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7 2017.04.27
2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4 2017.04.27
2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6 2017.04.27
2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 2017.05.05
2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 2017.05.05
2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4 2017.05.05
2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1 2017.05.05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