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플라스틱 총생산량 83억톤 대부분 쓰레기로 버려져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939, 2017.07.25 18:36:17
  • 폴리옥시벤자일메틸렌글리콜란하이드리드(polyoxybenzylmethylenglycolanhydride)라는 긴 화학명을 가진 최초의 인공 플라스틱 ‘베이클라이트’(Bakelite)가 합성된 건 1907년이다. 벨기에계 미국인인 레오 베이클랜드는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베이클라이트를 합성했다. 하지만 플라스틱이 본격적으로 확산한 건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다. 세상에 등장한 뒤 플라스틱은 건축자재인 철과 시멘트 정도를 예외로 하고 인공 소재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다. 특히 일회용 포장재료로 주로 쓰여 국민소득 중상위권 국가의 도시고형폐기물에서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율이 1960년대 1%에서 2005년 10%까지 급증했다. 플라스틱은 생분해되지 않아 영구히 제거하려면 연소나 열분해 등 열처리를 해야 한다. 2010년 한해만 바다로 흘러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 양이 400만~12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등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오염은 심각하다. 플라스틱은 그동안 얼마나 생산되고, 얼마나 버려졌을까?...[원문보기]


    (한겨레, 2017.07.20, 이근영 선임기자)


    b5f10362264b68264b88c0c611cc660f.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3/172889/d6d/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1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33 2019.06.13
11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38 2017.03.13
11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39 2016.01.12
11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1 2017.02.09
11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4 2017.04.27
11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5 2016.06.13
11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5 2019.04.03
11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0 2016.10.18
11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2 2016.07.07
11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4 2017.05.10
11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9 2016.05.18
11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1 2017.03.06
11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2 2017.03.02
11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3 2016.01.12
11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4 2016.05.17
11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5 2017.01.04
11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6 2018.11.29
11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7 2016.05.30
11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70 2016.05.13
11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72 2016.04.2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