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 “도시의 흙을 숨 쉬게 하라”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788, 2011.05.30 02:10:06
  • 지난 5월 24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등 불투수층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을 다룬 보고서를 발표했다. 흙이 불투수성 물질로 덮이게 되면 생물학적 기능 상실, 토양 내 종 다양성의 저하, 홍수피해의 증가 등 비가역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City_of_London.jpg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유럽에서는 택지 및 산업단지 조성, 도로 건설, 레크리에이션 시설 조성 등으로 매년 1,000km²에 달하는 면적이 불투수층으로 변하고 있다. 이는 독일의 수도 베를린보다 더 넓은 면적이다. 국가별로는 불투수층 증가가 가장 빠른 국가는 몰타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룩셈부르크의 순이었다.   
     
    보고서는 공간계획의 개선, 불투수층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야기할 수 있는 보조금제도의 재검토 등과 함께 옥상녹화와 투수성 주차장 건설 등을 대처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특정 지역에서 토양이 불투수층으로 변할 경우 다른 지역에서 토양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서 그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것을 권하고 있다.
     
    지난 2006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토양보호를 위해 제안했던 ‘토양관리 기본지침’은 일부 회원국의 반대로 아직까지 의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담긴 내용은 회원국 정부들을 위해 2012년 상반기에 발간될 예정인 토양보호의 최적 실행방안을 위한 기술보고서에 반영될 예정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7217/9f6/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40 2012.07.10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495 2012.07.10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58 2012.06.21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204 2012.06.01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542 2012.06.01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224 2012.05.07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712 2012.05.07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702 2012.05.07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97 2012.04.23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281 2012.04.23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368 2012.04.22
1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46 2012.04.07
1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481 2012.03.21
1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485 2012.02.29
1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512 2012.02.29
1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34 2012.02.14
1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26 2012.02.14
1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902 2012.02.10
1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13 2012.01.16
1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292 2012.01.09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