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CA 카드뉴스 #121]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와 ‘쿤밍-몬트리올 2030 글로벌 목표’ 비교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72, 2022.12.24 13:37:12
  • 2021년 12월 19일 종료한 생물다양성협약 제15차 당사국총회(CBD COP15)의 핵심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가 확정되면서 공식 명칭도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영문 약칭 GBF)로 정해졌습니다. GBF는 기존의 「생물다양성전략계획 2011–2020」을 확대계승한다고 볼 수 있는데, 거기 담겼던「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20개에 대응하는 것이 「쿤밍-몬트리올 2030 글로벌 목표」 23개입니다.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으로 육지 보호지역이 약 17%, 해양 보호지역 이 2%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육지는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11번(2020년까지 육지·내륙수역의 17%와 연안·해양의 10%를 보호지역[PAs, Protected Areas] 또는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으로 보호)과 비교해서 육지는 겨우 목표를 달성했고 해양은 목표 달성이 요원한 상태입니다. 그런데 이번 쿤밍-몬트리올 글로벌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 채택으로 2030년까지 육지와 해양 모두 30%를 보호지역 또는 OECM으로 지정해서 보호해야 하는데, 8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선진국의 일원으로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우리나라 정부와 국회가 긴박하게 법제를 정비하고 정책을 시행해야 하겠습니다.

     

    참고: ICCA. (2021, 9월 19일). 기후변화로 악화하는 생물 멸종위기 vs. 자연생태계 보호구역 현황. ICCA 카드뉴스 #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1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2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3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4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5
    고해상도 그림 내려받기: https://bit.ly/Aichi-Kunming-Montreal-6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1692668/27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9 2020.03.27
2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4 2020.03.27
2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1 2020.03.27
2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0 2020.03.27
2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0 2020.03.27
2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7 2020.04.01
2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7 2020.04.02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0 2020.04.16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3 2020.04.16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54 2020.04.24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40 2020.04.24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16 2020.04.24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5 2020.04.29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0 2020.04.29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8 2020.05.13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1 2020.05.13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 2020.06.04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8 2020.06.04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3 2020.06.04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6 2020.06.05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