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CA 카드뉴스 #99]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우리나라 중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381, 2022.04.14 17:33:53
  • IPCC-AR6-Korea.jpg

     

     

    2021년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제26차 당사국회의(COP26)에서 확정된 파리협정 이행규칙(“Paris Rulebook”)에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통계에 영향을 미칠 항목이 들어있습니다. 파리협정 제13조의 강화된 투명성 체계(enhanced transparency framework, ETF)를 확정하여, 앞으로 당사국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에서 이산화탄소상당량톤을 추산할 때 IPCC 제5차 평가보고서(AR5)에서 추정한, 배출 후 100년 기준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100)를 사용해야 합니다. 즉, 메탄 배출량 1톤은 이산화탄소상당량 28톤으로 계산하고, 아산화질소 1톤은 이산화탄소상당량 265톤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아직 공식 보고서(예를 들어, 2020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에서 IPCC 제2차 평가보고서(SAR, Second Assessment Report)의 GWP-100을 씁니다. SAR의 메탄 GWP-100은 21이기 때문에, AR5 기준을 따르면 국가 메탄 배출량의 이산화탄소상당량이 33% 증가(GWP-100이 21에서 28로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통계의 변화를 미리 체험해보기 위해, AR5보다 더 최신 기준인 AR6의 GWP-100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산했습니다. 단, 원자료는 LULUCF를 제외하면 우리나라 발표자료가 아니므로 GIR의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직접 비교하기는 힘듭니다.

     

    참고: 3대 온실가스의 IPCC 보고서별 배출 후 100년 기준 지구온난화지수(GWP-100)

     

    1) 이산화탄소(CO₂)

    SAR: 1

    AR5: 1

    AR6: 1

     

    2) 메탄(CH₄)

    SAR: 21

    AR5: 28

    AR6: 27.2(비화석연료 메탄) 또는 29.8(화석연료 메탄)

     

    3) 아산화질소(N₂O)

    SAR: 310

    AR5: 265

    AR6: 273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1691468/adb/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6 2021.11.13
2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7 2020.09.14
2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8 2019.11.07
2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8 2020.06.11
2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9 2019.12.04
2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0 2023.07.27
2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1 2022.06.08
2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2 2021.01.15
2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8 2020.05.13
2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8 2022.03.19
2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2 2020.06.04
2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4 2019.07.16
2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5 2019.11.20
2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6 2023.09.13
2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8 2021.06.14
2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0 2022.06.17
2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3 2021.07.15
2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6 2019.12.12
2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8 2020.01.22
2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9 2022.07.01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