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CA 카드뉴스 #95] 2021년 OECD 회원국, 중국 및 인도의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율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92, 2022.03.16 19:54:23
  • 기후변화 완화를 위해 사회경제체제가 바뀌면 앞으로 점점 더 에너지원 중 전력의 중요성이 더 커지리라 예상됩니다. 작년 10월 정부에서 확정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까지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가 2018년보다 2.2~2.3배로 증가한다고 전망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화석연료 등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때문에 최종에너지 수요는 같은 기간에 약 5% 감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중요해지는 전력의 생산 방법은 지금부터 더 신중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원자핵에너지는 안전성이나 폐기물 관리에 대해 논란이 여전하지만,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고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적은 풍력이나 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는 지금 당장 실천할 목표입니다.

     

     

    Energy-Mix-2021.jpg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4/1691382/f2a/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42 2018.03.28
3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15 2013.12.20
3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97 2018.04.24
3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408 2020.12.24
3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75 2015.05.28
3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55 2019.06.13
3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300 2020.12.11
3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97 2014.06.22
3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45 2019.01.30
3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78 2014.04.11
3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6 2014.10.19
3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8 2019.04.03
3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1 2018.06.12
3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66 2014.08.10
3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38 2015.05.28
3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24 2014.07.15
3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16 2020.04.24
3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06 2014.10.17
3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89 2014.10.17
3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95 2015.05.28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