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로 바다거북 수컷 사라져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1126, 2016.04.21 22:27:34
  • 바다거북은 지구상에 출현했던 6천만 년 전부터 지금까지 많은 환경 변화를 극복해 왔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생식성공률과 어린 바다거북의 암수비율이 변하고 있다는 사실이 미국 연구팀에 의해 밝혀져 주목된다. 

    2016-04-15-sea%20turtles.jpg

    바다거북은 암수를 결정하는 X, Y 염색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과정에서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 암컷이 많이 생기며 수온이 내려가면 수컷이 많이 생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라 해수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수컷 바다거북이 줄어들게 되고 그 여파로 생식성공률이 낮아지면 바다거북의 개체수가 급감할 수 있다. 알에서 갓 부화한 어린 바다거북은 2500-7000마리 중에서 한 마리 정도만 살아남아 성체가 된다. 성체 암컷 한 마리는 생식이 가능한 20~30년 동안 총 1000개 정도의 알을 낳기 때문에 환경이 조금만 변해도 개체수가 빠르게 줄게 된다.

    연구진은 2010년에서 2013년까지 플로리다 해안에서 갓 부화한 어린 바다거북의 대부분이 암컷임을 밝혀냈다. 기후가 변하면서 비가 충분히 내리지 않고 바다 수온이 상승해 알이 부화되는 장소인 모래사장의 온도가 수컷을 만들어 낼 수 없을 만큼 높았기 때문이다. 

    지난 6천만년 간 멸종되지 않고 잘 버텨온 바다거북. 지금처럼 기후변화가 지속되면 몇 십 년 후에는 바다에서 더 이상 바다거북을 만날 수 없게 될 지도 모른다(안양대학교 해양바이오시스템공학과 류종성 교수).




    0d5d2c8a988cc26395812b6d561e51e0.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8445/8cb/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6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826 2016.03.21
3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704 2013.02.25
3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571 2011.04.11
3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070 2016.04.21
3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639 2011.05.31
3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479 2011.10.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126 2016.04.21
3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034 2016.05.18
35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775 2017.04.27
3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675 2011.03.08
3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591 2012.12.04
3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268 2013.04.23
3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070 2010.11.23
3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967 2011.06.13
3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38 2010.11.24
3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360 2011.07.25
3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87 2012.02.14
3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139 2012.02.14
3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067 2010.11.25
3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051 2012.11.28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