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망 메시지 1 : 중국 석탄수요 확연한 감소 추세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724, 2015.08.02 21:31:49
  • 지난 6월 중국의 석탄 채굴량은 3억2700만t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4.9% 감소한 양이다. 6월은 전력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공급자들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량을 대폭 낮춘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석탄생산량은 약 17억t으로 전년도에 견줘 5.8% 하락했다.


    중국 석탄.jpg

    출처: wikipedia.org


    중국은 지난해 3월 리커창 총리가 스모그와의 전쟁을 선포했으며, 베이징 시에서도 대기오염을 막기 위해 석탄 의존도를 낮추고 새로운 청정에너지원을 찾는 노력을 함께 펼치고 있다. 하지만 국제 유가 불안과 경기침체의 영향이 중국 내 발전, 철강(조강), 시멘트 등 산업에 미치면서 석탄 공급이 수요를 초과한 결과 석탄 가격이 20% 이상 떨어졌다. 


    6월 발전량은 474TWh에 달했지만 지난해에 견줘 0.6% 증가한 것에 불과하고 열생산량은 5.8% 감소했다. 발전사들이 석탄발전 의존도를 낮추는 동안 수력발전은 16.4% 증가했으며, 산업계 전력 수요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다. 시멘트 생산은 5.8% 하락했으며 조강생산도 지난해에 비해 0.8%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6월 이후에도 석탄 수입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중국 최대 석탄 생산업체인 신화 그룹도 7월에는 수요가 약해 추세가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윤성권 객원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6546/50a/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26 2019.10.24
1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59 2019.10.24
1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1 2019.10.24
1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7 2019.11.20
1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1 2019.11.20
1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4 2019.11.20
1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2 2019.11.20
1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3 2019.11.20
1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9 2019.12.26
1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05 2019.12.26
1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7 2019.12.26
1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50 2019.12.26
1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7 2019.12.26
1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8 2019.12.26
1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90 2020.01.31
1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8 2020.01.31
1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18 2020.01.31
1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10 2020.01.31
1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05 2020.01.31
1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1 2020.01.31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