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 시대, 꽃을 보며 즐거워할 수만은 없는 이유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1337, 2014.11.22 01:38:22
  • 모두가 알다시피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 반대급부 또한 만만치 않다.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바로 꽃가루 알레르기로 인한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학술지 <PLUS ONE>에 실린 메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의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100년간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 노출은 20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들은 이산화탄소와 오존의 농도가 식물의 꽃가루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기 위해 4개의 반응기 속의 목초와 꽃들을 관찰하였다. 각각의 반응기 속 오존농도는 최소 30ppb에서 최대 80ppb, 이산화탄소는 최소 400ppb에서 최대 800ppm이었다.



    PollenAllergy.jpg


    실험 결과 식물들이 가장 많은 꽃가루를 생산한 것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800ppm에 맞춘 반응기로서, 꽃마다 꽃가루의 양이 53%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반응기 마다 오존 농도는 꽃가루 양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산화탄소 증가가 꽃가루 생산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한 이번 실험결과는 향후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꽃가루 알레르기에 의한 건강 피해가 더 커질 것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구상에서 목초들이 존재하지 않는 생물군계는 없으며, 목초 꽃가루 알레르기 역시 세계 어디에나 있기 때문이다.


    오존 농도가 식물의 꽃가루 생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실험결과에 안심할 이유도 없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꽃가루 알레르기에 관한 실험이었을 뿐, 오존 농도의 증가가 기관지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미 많은 선행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라 알레르기 시즌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이번 실험결과는 거기에 더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로 우리가 더욱 많은 꽃가루에 노출될 것임을 예고한다. 지금보다 더 오래 기간, 더 많은 꽃가루에 노출될지 모른다는 사실은, 기후변화가 수반하는 또 다른 악몽일수도 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연구소 후원 배너.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5008/45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1 2019.06.13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29 2019.07.17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4 2019.07.17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6 2019.07.17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1 2019.07.17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4 2019.07.17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5 2019.07.17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95 2019.07.17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4 2019.07.17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85 2019.08.16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2 2019.08.16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4 2019.08.16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4 2019.08.16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83 2019.08.16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1 2019.08.16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4 2019.08.16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04 2019.10.24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3 2019.10.24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0 2019.10.24
1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2 2019.10.2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