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전환 나선 독일, 원자력과 석탄 모두 버린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5549, 2014.11.22 01:29:38
  •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정부가 에너지전환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독일의 에너지 전환은 2022년까지 모든 원전의 가동을 중단하고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여 재생에너지를 빠르게 확대한다는 전략 속에서 추진된다.


    지난 11월 초 메르켈 정부는 토론 문서를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가동 중인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해 보다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며 에너지 시스템을 재생에너지 위주로 재편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에너지 시스템 내에 너무 많은 화석연료 발전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잉설비를 줄여야한다는 것이다. 

     

    Anna Strumillo ARR.jpg


    독일의 거대 에너지기업인 RWE와 E.ON 등은 이미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중단하고 분산형 재생에너지 발전과 에너지 저장시설에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유럽에서 2위 규모의 에너지 기업이자 독일 에너지시장의 최대 주자인 스웨덴의 Vattenfall도 최근 갈탄발전소를 포기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11월 초 덴마크는 탈 석탄 시기를 2030년에서 2025년으로 앞당기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독일의 전원믹스는 석탄과 갈탄 45%, 천연가스 11%, 원자력 15%, 재생에너지 24%이다. 재생에너지는 2015년에 31%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연방환경부장관 바바라 헨드릭스는 지난 10월 의회 연설에서 독일 정부는 석탄화력발전소 신규 건설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고 발전설비계획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미국의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독일 정부가 석탄 이용을 어떻게 제한할 것인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미국처럼 발전부문에 엄격한 감축목표를 부여할 수도 있고 일정 수준 이상의 오염물질과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발전소에 대해 보조금 지급을 금지할 수도 있다. 핵발전처럼 ‘탈 석탄’ 시기를 명시하는 것도 선택 가능한 옵션이다. 



    WEMAG_Luftbild-Batteriespeicher.jpg


    일각에서는 갑자기 석탄과 원자력을 동시에 폐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우려한다. 하지만 석탄처럼 전통적인 발전원들도 에너지전환의 요구에 적응해야 하는 것만은 분명하다.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발전 등 대안도 현실화되고 있다. 베를린 소재 배터리 생산기업인 유니코스(Younicos)는 10MW 용량의 전력저장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로써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마지막 남은 장애물이 제거되었으며, 최소한 대용량의 화석연료 기저발전원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전력저장시스템은 전통적인 발전원에 비해 전력망을 빠르게 안정화할 수 있으며 저렴할 뿐만 아니라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




    연구소 후원 배너.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4986/91f/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13 2010.11.23
3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78 2010.11.25
3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22 2013.09.11
3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39 2010.11.25
3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42 2011.01.11
3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48 2010.11.29
3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49 2014.10.14
3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51 2010.11.25
3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485 2010.11.24
3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502 2010.11.23
3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548 2010.11.24
3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558 2010.11.23
3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19 2010.11.23
3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20 2010.11.23
3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22 2010.11.23
3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83 2010.11.24
3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699 2010.11.23
3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18 2013.08.19
3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19 2011.01.10
2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26 2010.11.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