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무서운 이유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993, 2014.10.15 22:28:36
  • 미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 바이러스 감염 환자는 8900명이 넘었고, 이중 44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에볼라.jpg

    출처: Flickr/European Commission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더 많은 희생자를 낼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기후변화를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해야한다는 것이다.


    영국의학협회가 발간하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연소는 실내와 실외 공기오염을 유발해 매년 7백만 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한다. 이 저널의 편집자는 “에볼라 감염으로 인한 참혹한 희생도 우리 아이들과 후손들이 기후변화로 겪게 될 사태에 비교하면 작아 보일 정도”라고 경고했다.


    해수면 상승, 폭염의 확산, 가뭄 증가 등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는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위해 검역과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는 이러한 통제수단이 통하지 않을 것이란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icca-ad.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4674/02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65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15 2010.11.23
65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11 2010.11.23
65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571 2010.11.24
65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074 2010.11.24
65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139 2010.11.24
65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99 2010.11.24
65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664 2010.11.24
65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966 2010.11.24
6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75 2010.11.24
6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192 2010.11.24
6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942 2010.11.24
6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587 2010.11.24
6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29 2010.11.24
6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81 2010.11.24
6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080 2010.11.24
6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728 2010.11.24
6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580 2010.11.24
6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99 2010.11.24
6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70 2010.11.24
6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893 2010.11.2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