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무서운 이유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993, 2014.10.15 22:28:36
  • 미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 바이러스 감염 환자는 8900명이 넘었고, 이중 44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에볼라.jpg

    출처: Flickr/European Commission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더 많은 희생자를 낼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기후변화를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해야한다는 것이다.


    영국의학협회가 발간하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연소는 실내와 실외 공기오염을 유발해 매년 7백만 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한다. 이 저널의 편집자는 “에볼라 감염으로 인한 참혹한 희생도 우리 아이들과 후손들이 기후변화로 겪게 될 사태에 비교하면 작아 보일 정도”라고 경고했다.


    해수면 상승, 폭염의 확산, 가뭄 증가 등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는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위해 검역과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는 이러한 통제수단이 통하지 않을 것이란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icca-ad.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4674/d9e/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30 2020.10.12
1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4 2020.10.12
1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95 2020.10.12
1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34 2020.10.12
1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5 2020.10.12
1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53 2020.10.12
1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05 2020.11.19
1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06 2020.11.19
1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622 2020.11.19
1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63 2020.11.19
1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185 2020.11.19
1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57 2020.11.19
1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94 2020.11.19
1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8 2020.11.19
1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04 2020.12.23
1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29 2020.12.23
1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54 2020.12.23
1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82 2020.12.23
1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75 2020.12.23
1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83 2020.12.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