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무서운 이유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959, 2014.10.15 22:28:36
  • 미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 바이러스 감염 환자는 8900명이 넘었고, 이중 44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에볼라.jpg

    출처: Flickr/European Commission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더 많은 희생자를 낼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기후변화를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해야한다는 것이다.


    영국의학협회가 발간하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연소는 실내와 실외 공기오염을 유발해 매년 7백만 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한다. 이 저널의 편집자는 “에볼라 감염으로 인한 참혹한 희생도 우리 아이들과 후손들이 기후변화로 겪게 될 사태에 비교하면 작아 보일 정도”라고 경고했다.


    해수면 상승, 폭염의 확산, 가뭄 증가 등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는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위해 검역과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는 이러한 통제수단이 통하지 않을 것이란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icca-ad.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4674/990/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7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 2021.09.24
7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4 2021.11.10
7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6 2021.07.26
7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 2021.05.28
7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1 2021.11.10
7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 2021.04.22
7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 2021.07.26
7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 2021.07.26
7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 2021.02.04
7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 2021.02.04
7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7 2021.09.24
7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8 2021.07.26
7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9 2021.04.22
7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9 2021.11.10
7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0 2021.07.26
7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1 2021.03.12
7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 2021.02.04
7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 2021.03.12
7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 2021.09.24
6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 2021.09.24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