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무서운 이유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5959, 2014.10.15 22:28:36
  • 미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 바이러스 감염 환자는 8900명이 넘었고, 이중 4400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에볼라.jpg

    출처: Flickr/European Commission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가 에볼라 바이러스보다 더 많은 희생자를 낼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기후변화를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해야한다는 것이다.


    영국의학협회가 발간하는 영국의학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에 따르면, 화석연료의 연소는 실내와 실외 공기오염을 유발해 매년 7백만 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한다. 이 저널의 편집자는 “에볼라 감염으로 인한 참혹한 희생도 우리 아이들과 후손들이 기후변화로 겪게 될 사태에 비교하면 작아 보일 정도”라고 경고했다.


    해수면 상승, 폭염의 확산, 가뭄 증가 등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는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통제하기 위해 검역과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는 이러한 통제수단이 통하지 않을 것이란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은선 연구원). 
     



    icca-ad.gif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64674/dd9/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1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13 2012.01.16
1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26 2010.11.24
1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46 2010.11.24
1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55 2012.11.28
1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57 2012.06.21
1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79 2010.11.25
1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85 2010.11.24
1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91 2010.11.25
1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17 2014.11.22
1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39 2010.11.24
1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370 2010.11.23
1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481 2011.08.01
1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493 2012.07.10
1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05 2010.11.25
1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47 2010.11.24
1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66 2010.11.23
1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33 2011.01.11
1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38 2010.11.24
1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50 2010.11.25
1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674 2010.12.08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