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전력시스템 복구에 신재생E 적격”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634, 2011.04.22 09:48:27
  • 신재생에너지가 일본 전력공급망의 복구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기후변화행동연구소(소장 안병옥)에 따르면 나우틸러스 안전과 지속가능성 연구소는 일본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효율 개선을 중심으로 전력공급시스템을 복구할 경우 원자력이나 화석연료 의존방식에 비해 복구시기를 3년가량 단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나우틸러스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 초고효율 기술의 적용, 지역 분산형 가스발전소의 배치를 하나의 정책으로 추진하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방식인 해안지역 원전건설과 석탄화력발전소에 의존하는 중앙 집중형 전력공급방식 등 두 가지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시나리오가 비용도 적게 들고 복구시기를 앞당길 수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에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초기 시설투자비용은 원전과 석탄발전소를 이용한 전력공급방식에 비해 높지만 장기적으로 계산했을 때 추가비용은 연간 10% 정도로, 전력시스템 복구기간을 앞당김으로써 상쇄될 수 있다는 것.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기존 방식에 비해 약 50%가 절감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나우틸러스 연구소는 일본의 전력시스템 복구작업이 재생가능에너지와 효율개선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분산형으로 이뤄질 경우 ‘녹색경제’ 진입 성공 가능성도 제기했다.

    (2011.04.19, 에너지타임즈, 김부민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5300/9a3/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4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15 2015.05.07
4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23 2014.12.14
4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33 2015.05.21
43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43 2015.07.30
4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57 2014.07.15
4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64 2015.07.30
4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3 2016.04.15
4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79 2015.03.23
4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81 2014.07.15
43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793 2021.12.07
42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38 2015.03.23
42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14 2014.04.22
42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87 2014.06.23
42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93 2014.06.23
42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46 2015.03.23
42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233 2014.06.23
42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530 2014.05.20
42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11 2014.05.20
4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53 2020.03.27
42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59 2010.11.2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