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전력시스템 복구에 신재생E 적격”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634, 2011.04.22 09:48:27
  • 신재생에너지가 일본 전력공급망의 복구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기후변화행동연구소(소장 안병옥)에 따르면 나우틸러스 안전과 지속가능성 연구소는 일본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효율 개선을 중심으로 전력공급시스템을 복구할 경우 원자력이나 화석연료 의존방식에 비해 복구시기를 3년가량 단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나우틸러스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 초고효율 기술의 적용, 지역 분산형 가스발전소의 배치를 하나의 정책으로 추진하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방식인 해안지역 원전건설과 석탄화력발전소에 의존하는 중앙 집중형 전력공급방식 등 두 가지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시나리오가 비용도 적게 들고 복구시기를 앞당길 수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에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초기 시설투자비용은 원전과 석탄발전소를 이용한 전력공급방식에 비해 높지만 장기적으로 계산했을 때 추가비용은 연간 10% 정도로, 전력시스템 복구기간을 앞당김으로써 상쇄될 수 있다는 것.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기존 방식에 비해 약 50%가 절감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나우틸러스 연구소는 일본의 전력시스템 복구작업이 재생가능에너지와 효율개선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분산형으로 이뤄질 경우 ‘녹색경제’ 진입 성공 가능성도 제기했다.

    (2011.04.19, 에너지타임즈, 김부민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5300/53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1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35 2013.06.12
2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11 2013.06.21
21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6 2013.07.04
21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29 2013.07.08
21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12 2013.07.08
21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62 2013.07.08
21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38 2013.07.11
21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97 2013.07.25
21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47 2013.08.27
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47 2013.08.27
20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30 2013.12.10
20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68 2013.12.10
20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64 2013.12.10
20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00 2013.12.10
20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73 2013.12.10
20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91 2013.12.10
20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80 2013.12.10
20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35 2013.12.10
20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77 2013.12.10
20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20 2013.12.1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