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전력시스템 복구에 신재생E 적격”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3642, 2011.04.22 09:48:27
  • 신재생에너지가 일본 전력공급망의 복구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기후변화행동연구소(소장 안병옥)에 따르면 나우틸러스 안전과 지속가능성 연구소는 일본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효율 개선을 중심으로 전력공급시스템을 복구할 경우 원자력이나 화석연료 의존방식에 비해 복구시기를 3년가량 단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나우틸러스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재생가능에너지와 에너지 초고효율 기술의 적용, 지역 분산형 가스발전소의 배치를 하나의 정책으로 추진하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방식인 해안지역 원전건설과 석탄화력발전소에 의존하는 중앙 집중형 전력공급방식 등 두 가지 시나리오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시나리오가 비용도 적게 들고 복구시기를 앞당길 수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에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초기 시설투자비용은 원전과 석탄발전소를 이용한 전력공급방식에 비해 높지만 장기적으로 계산했을 때 추가비용은 연간 10% 정도로, 전력시스템 복구기간을 앞당김으로써 상쇄될 수 있다는 것.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기존 방식에 비해 약 50%가 절감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나우틸러스 연구소는 일본의 전력시스템 복구작업이 재생가능에너지와 효율개선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분산형으로 이뤄질 경우 ‘녹색경제’ 진입 성공 가능성도 제기했다.

    (2011.04.19, 에너지타임즈, 김부민 기자)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5300/118/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28 2013.06.07
2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30 2011.04.11
2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39 2014.01.26
2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41 2011.04.22
2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42 2011.01.10
2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67 2011.01.10
2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75 2012.07.30
2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83 2010.11.19
2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05 2011.10.07
27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10 2011.06.30
26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23 2012.11.28
26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39 2013.12.1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42 2011.04.22
26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58 2014.01.26
26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79 2010.11.19
26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97 2014.01.26
26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99 2013.05.28
26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01 2010.11.19
26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07 2011.08.04
26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0 2013.05.23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