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7/24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 무방비 노출, 국내 관련 영향연구 미흡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545, 2010.11.21 23:02:52
  • [이투뉴스]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응체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송창근 국립환경과학원 박사는 지난 20일 서울 정동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기상재해의 인명·재산피해, 어떻게 줄일 것인가' 세미나에서 "기후변화 적응 취약성 평가가 매우 중요한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명형남 아주대학교 예방의학과 연구원도 "인명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인명 피해자의 정보와 재해유형별 사망원인 분석, 취약성 분석 등을 자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송 박사는 "기후변화 적응 취약성 평가에 대한 불확실도와 신뢰도 검증이 필요하다"며 ▶고해상도 예측 시나리오 ▶부문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강화 ▶적응대책 발굴과 사회적·경제적 수용가능성 분석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 구축 등을 제안했다.

     

    명 연구원 역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기상재해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며 "기상재해에 대비한 국민행동지침 마련과 더불어 기상재해로 인한 전염병 및 정신질환 등을 종합 관리하는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적응의 동향과 전망'을 발표한 안준관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현상이 계속해서 급증하고 있다"며 "최근 10년간 기상피해를 보면 태풍과 호우에 의한 공공시설 피해가 전체피해액의 91.5%를 차지할 정도 사회기반시설이 취약하다"고 말했다.

     

    안 선임연구원에 따르면 사회기반시설 가운데 도로, 하천, 소하천 등 시설물의 피해가 크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적응방안으로 ▶적응대책에 필요한 자료 축적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구축 ▶사회기반시설 설계기준 강화 ▶개발계획시 기후변화영향평가 ▶기상재해 사전예측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또 피해가 많이 일어나는 소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바꾸고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관련 인력 및 전담부서를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0.07.21, 이투뉴스, 김선애) 원문보기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about06/1511/303/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21 2014.01.26
3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06 2014.01.26
3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89 2014.01.26
3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56 2014.01.26
3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12 2014.01.26
3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92 2014.01.26
3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15 2013.12.10
3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28 2013.12.10
3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48 2013.12.10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30 2013.12.10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421 2013.12.10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98 2013.12.10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52 2013.12.10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88 2013.12.10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48 2013.12.10
3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78 2013.12.10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15 2013.12.10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84 2013.12.10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36 2013.12.10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420 2013.12.10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