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유럽의 선택은?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9650, 2011.03.14 18:43:36
  • 일본 북동부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사상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아직 피해 규모를 예측할 수 없는 후쿠시마 원전 폭발에 대한 유럽의 반응이 심상치 않다.

     

    그림1.png 국내 언론에 소개되었듯이 지난 토요일 독일 남부에서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반핵 시위에 나섰다. 이번 시위는 이전부터 계획되었던 것이지만 일본 사태 이후 5만 명이 넘는 인파가 몰려들었다고 한다. 시위대 인파는 네카베스트하임 원전에서 슈투트가르트까지 인간 사슬을 만들고 독일 정부에 원자력 발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 날 메르켈 총리는 내각 각료들을 소집해 긴급회의를 주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르켈 총리는 독일 내 17개 원전의 수명을 기존의 폐쇄 일시보다 12년 연장하면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메르켈 총리가 지금까지와 같은 입장을 취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은 독일의 다수 원전이 항공기 충돌이나 지진을 견딜 수 없다는 점을 들어 원자로 수명연장정책의 폐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탈리아는 G8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원자력발전을 하지 않고 있는 나라다. 하지만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얼마 전 총 에너지 소비량의 4분의 1가량을 원전 건설을 통해 충당할 계획을 발표한 적이 있다. 일본처럼 지진 발생위험이 상당히 높은 이탈리아 국민들이 향후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주목된다.

     

    영국 정부는 사태의 추이를 조용히 모니터링하고 있는 눈치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함께 원전 폭발의 원인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노후 원자로를 대체할 신규 원전 10기 건설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사태가 가져올 부정적인 영향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일본의 지진해일과 원전 폭발은 영국 해군이 영국 핵잠수함들의 원자로의 안전성이 ‘표준 양호 상태보다 상당히 낮다’는 사실을 인정한 후 며칠 만에 발생했다. 지금은 ‘체르노빌 사고 25주기’를 몇 주 앞 둔 시점이기도 하다. 이번 사태가 유럽의 에너지정책에 미칠 파장은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태의 전개추이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진아 연구원).

     

     

     

엮인글 0 https://climateaction.re.kr/news02/14049/29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3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39 2017.11.14
3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81 2017.11.20
3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283 2018.04.24
3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36 2017.11.17
3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58 2017.11.17
3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75 2014.01.25
3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394 2020.11.19
3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32 2020.11.19
3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44 2014.02.17
3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492 2020.11.19
3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27 2020.10.12
3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36 2020.10.12
3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69 2010.11.23
3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75 2020.10.12
3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2 2020.09.02
3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3 2020.11.19
3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589 2020.10.12
3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5 2020.09.02
3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06 2020.10.12
3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6610 2020.10.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