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03 14:24
후쿠시마에서 사고가 난 지 8년이 지났다. 하지만 사고 처리에 별다른 진전이 없고 많은 사람이 아직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러는 사이 일본 정부는 다시 원전을 가동하기 위해 분주하고, 흙을 걷어 올려 곳곳에 쌓아 두고서 제염을 했다고 말하면서 방사선 피폭 허용량을 높여 주민들의 귀향을 압박하고 있다. 한편, 이 원전 사고처리 비용으로 일본 정부가 2016년 밝힌 자료로 22조엔이 들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올해 3월 일본 민간 연구기관인 일본경제연구센터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보다 훨씬 많은 35조~80조엔으로 추산하고 있다.[1] 최대 80조엔이면 한화로 대략 800조원에 이르는 액수로 이는 우리나라 총 GDP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막대한 액수이다. 이 돈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지으면 우리나라 전체 전기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막대한 금액이다.
1)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최악이었을까? – 더 큰 사고가 날 수 있었다
후쿠시마 원전이 어쩌다 운이 좋지 않아서 생긴 것일까? 우선 지금까지 지어진 400여 기의 원전의 노심용융급 사고확률은 약 10−4/RY이다[2]. RY는 reactor year로 원전 1기를 1년 가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 수치는 원전 1기가 10,000 RY에 한번 중대 사고가 난다는 얘기로서, 400 여기의 원전이 가동되면 25년마다 중대 사고가 날 확률이다. 지난 50년 정도에 쓰리마일 섬, 체르노빌, 후쿠시마 3곳에서 사고나 났으니 이 확률이 그냥 나온 수치가 아니고 원전 사고도 운이 나빠 생긴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복구에 천문학적 돈이 드는 후쿠시마 원전이 최악의 사태였을까? 우선 지진과 해일이 일어났던 지역에 이 후쿠시마 제1원전을 제외하고 상당수의 다른 원전이 있었다. 아래와 같이 이 원전들도 가까스로 사고를 피하거나 경미한 사고에 그쳤다.
거대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도 3기나 되는 원전이 가동 중지 상태에 있어서 일단 사고가 3기에 그치게 되었다. 다른 곳에 있던 나머지 6기의 원전도 겨우 노심용융급 사고를 막았다.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방호 둑의 높이로서 쓰나미(지진해일)의 최대파고보다 조금 높았다. 그러나 방호 둑이 높더라도 쓰나미가 방호 둑에 부딪치면 상당량의 물이 둑을 타고 넘어 침수시킨다. 후쿠시마 제2원전 일부도 그래서 침수되었고 많은 수의 비상 디젤발전기가 침수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행히도 이 원전의 외부 전원 중 한 선이 강진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아 있었다. 제2원전 관리자와 직원들이 뛰어난 위기 대응 능력을 발휘, 이 유일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냉각수 펌프를 가동함으로써 노심이 녹고 방사선이 대량 누출되는 것을 막았다. 가장 쓰나미 파고가 높았던 오나가와 원전은 불과 1m 차이로 가까스로 큰 사고를 면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이외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