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과 비교해서 1.5°C 이내로 억제하는 데 보조를 맞추는 일은 얼마나 엄청난 과제일까? 특정 정권의 야심 찬 정책으로 달성할 수 있을까? 작년에 IPCC에서 공개한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IPCC, 2018)를 보면 힌트가 있다. IPCC는 기후변화 완화 비용을 탄소 가격으로 환산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그림 1: 지구온난화 억제 목표 단계별 탄소 가격(IPCC, 2018).
현재 우리나라의 목표 온실가스 배출량이 공개된 2030년을 기준으로 하면, 지구온난화 1.5°C 이내 억제 목표를 만족하는 탄소 가격이 이산화탄소환산 톤당 $1472($1336~4578)라고 한다. 가장 낮은 수준의 목표인 지구온난화 2°C 이내 억제 확률 50% 목표를 만족하는 탄소 가격은 이산화탄소환산 톤당 $62($48~156)라고 하니, 1.5°C 이내 억제에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지 가늠할 수 있다. 참고로, 2018년 마지막 거래일의 우리나라 배출권 최고 가격은 이산화탄소환산 톤당 25000원이었는데, 이것을 물가상승을 역산하여 2010년 불변가격 기준 미국 달러로 환산하면 약 $18.87이다.
이것이 우리나라 경제에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GDP에 대비해보았다. 우리나라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관계부처 합동, 2018)에 따르면, 2016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9400만 톤이었던 우리나라는 2030년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5억7430만 톤으로 억제하려고 한다. 이 배출량에 IPCC의 시나리오별 탄소 가격을 곱하면, 시나리오별 온실가스 저감 비용은 아래의 표와 같이 추산된다. 올해 1분기에 발표될 예정인 제3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가정에 따라 2017~2030년 사이에 GDP가 매년 2% 성장한다고 보면, 2030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은 1조7411억 달러(2010년 불변가격 기준)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1.5°C 이내 억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후변화 완화 비용이 GDP의 49%가 된다. 가장 낮은 목표인 지구온난화 2°C 이내 억제 확률 50% 달성 비용은 GDP의 2%이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배출권 할당량(연간 온실가스 5억4770만 톤)에 2018년 배출권 가격을 곱한 값(약 103억 달러, 2030년 GDP의 0.6%)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