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화탄소 2조 톤은 모두 어디로 간 것일까?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6647, 2013.07.03 00:57:27
  • 최근 세계는 암울한 이정표에 도달했다.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하와이 마우나 로아(Mauna Loa)에서 사상 처음으로 400ppm을 웃도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관측된 것이다. 하지만 토양과 바다라는 탄소 흡수원이 없었더라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았을 것이다. 지난 262년간 탄소 배출원과 흡수원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바다, 식물, 토양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는 데 얼마나 큰 역할을 하고 있는지 드러난다.

     

    배출과 흡수의 시소게임

     

    1750년부터 지금까지 인류는 약 2조 톤에 달하는 이산화탄소를 내뿜었다.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된 탄소는 자연의 탄소 순환계에 더해져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IPCC, GCP(Global Carbon Project), CDIAC( Carbon Dioxide Information Analysis Center)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지난 262년 동안 탄소가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로 간 것인지 한 눈에 알 수 있다.

     

    Emissionsandsinks1.jpg

     

    산업혁명 이후 인간이 내뿜은 약 2조 톤의 CO2 가운데 34%는 석탄, 25%는 석유, 10%는 천연가스, 2%는 시멘트의 이용 과정에서 배출된 것이다. 나머지 29%는 토지 이용에 책임이 있다. 그렇다면 2조 톤이나 되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는 모두 어디로 간 것일까? 답은 분명하다. 44%는 대기로, 30%는 바다로, 나머지 26%는 토양으로 흡수되었다. 이 계산은 같은 이산화탄소 분자를 적용한 것은 아니지만, 자연의 탄소 순환계에 인간의 탄소 배출량이 추가되면서 만들어진 불균형이 탄소흡수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잘 보여준다.

     

    바다, 식물, 토양 등에 의해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빠른 배출량 증가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의 합작품이다. 이는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유입될수록 바다와 토양은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는 음(陰)의 되먹임(negative feedback) 현상을 초래한다. 1750년 이래 바다와 식물 흡수원은 인간의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의 56%가량을 흡수해왔다. 흡수원들이 없었다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아마 500ppm을 넘었을 것이다.

     

    탄소 흡수원이 없었다면 어떤 일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1ppm 상승하기 위해서는 약 78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유입되어야 한다. 1750년 이후 인간이 배출한 탄소 가운데 약 8,790억 톤(이산화탄소 환산톤)은 대기로 유입되어 2012년까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113ppm 정도 증가시켰다. 이는 탄소 배출원과 흡수원의 기능을 모두 감안한 결과이다.

     

    1750년 이후 2012년까지 260여 년간 인간이 내뿜은 탄소 배출량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분 257ppm에 해당한다. 1750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280ppm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흡수원의 역할을 배제할 경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현재 537ppm일 것으로 추정된다. 토지이용에 따른 배출량을 제외한다면 460ppm 정도였을 것이다. 배출원 별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기여한 정도는 석탄 +86ppm, 석유 +64ppm, 가스 +26ppm, 시멘트 +5ppm, 토지이용 +76ppm이다.

     

    global-co2-concentrations.jpg

     

    바다와 토양이라는 탄소 흡수원이 없었더라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최근 하와이에서 관측된 값인 400ppm을 훨씬 넘어섰을 것이다. 바다 흡수원(-76ppm)과 토양 흡수원(-68ppm)은 1750년 이래 인간의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의 56%를 흡수해 왔다. 그 결과 2012년 전 세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평균값은 393ppm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었다(하와이 마우나 로아 관측소에서 관측된 농도는 세계 평균값보다 높다).

     

    양의 되먹임(positive feedback) 현상 막아야

     

    우리 인간은 탄소를 점점 더 많이 배출하고 있다. 토지 이용에 따른 배출량은 감소했지만, 화석연료 이용이 수반하는 배출량은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배출량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에 대한 반응으로, 토양과 바다 흡수원은 점점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다.

     

    토양과 바다가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이산화탄소 농도는 연평균 2ppm의 속도로 상승 중이다. 더 이상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막으려면, 탄소 배출량을 당장 55-60% 정도 줄여야 한다.

     

    미래에도 탄소 흡수원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은 탄소 흡수원이 갑자기 배출원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가뭄, 산불, 이탄(泥炭) 지대의 배수, 영구동토층의 해빙, 바다로부터의 가스 방출 등 양(陽)의 되먹임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넓게 펼쳐져야 한다. 배출원을 틀어막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늦추는 훌륭한 흡수원인 바다와 토양을 보호하는 것이 기후변화에 맞서 싸우는 유력한 수단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미형 객원연구위원).

     

엮인글 0 http://climateaction.re.kr/news01/35893/f6c/trackback

댓글 1 ...

  • onestone

    2013.08.21 17:44

    sink와 source 두요인중 계산에 맞않는 2조톤은 지구의 어딘가에 인간이 잘모르고 있는 Sink가 존재 하기 대문인데 이 의문의 존재는 앞으로 어떤 임계점에 다달했을때 + Feedback 요소로 돌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래서 임계점을 넘지않는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가 필요한지도...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5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124 2013.12.17
24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052 2013.12.16
24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819 2013.12.16
24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09 2013.11.25
24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415 2013.11.24
24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179 2013.11.24
24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59 2013.09.12
24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497 2013.09.11
24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642 2013.09.11
24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557 2013.08.19
24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08 2013.08.19
23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766 2013.08.19
23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8042 2013.07.27
23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4395 2013.07.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647 2013.07.03
23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0001 2013.07.03
23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6749 2013.05.29
23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7058 2013.05.28
23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1223 2013.05.13
23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3286 2013.05.1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