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온 상승, 산소 결핍, 산성화 - 바다생태계 붕괴 시기는?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29270, 2016.05.18 11:28:10
  • 지난 3월 말 호주 제임스 쿡 대학 연구진은 세계 최대의 산호 군락지인 대보초(Great Barrier Reef) 북부를 조사한 결과 무려 95% 면적에서 백화현상(bleaching)이 나타났다는 충격적인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바다의 환경이 변해 산호와의 공생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조류(광합성 쌍편모충류)가 생존하기 어려울 정도가 되면, 산호를 덮고 있던 아름다운 색깔을 지닌 조류들이 떨어져 나간다. 덩그러니 남은 산호는 원래의 모습인 흰색을 드러내는데, 이것이 바로 산호의 백화 현상이다. 

    CoralBleaching.jpg

    백화 현상은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하나일 뿐이다.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해수 온도 상승, 둘째 용존산소량 감소, 셋째 해양산성화가 바로 그것이다. 지구의 평균기온이 상승하면서 지나치게 따뜻해진 바다에서는 산호와 공생 관계에 있는 조류의 생장이 저해된다. 그리고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바다로 흡수되면서 산성을 띠게되는 바다는 산호의 탄산칼슘 생성 능력을 저해하고 산호초의 탄산칼슘을 녹인다(참고자료 보기). 

    바다에서 산소가 줄어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샌디에이고 캠퍼스(UCSD)의 스크립스(Scripps) 해양연구소 연구진은 학술지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바다의 용존산소량의 감소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주목했다. 조사 결과 용존산소량 감소는 태평양 동부에서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과거 데이터를 검토하고 다양한 환경이 존재하는 해저 대륙주변부를 따라 심해 침전물이 용출하는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분석했다. 전 세계 해양의 11%를 차지하는 해저 대륙주변부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류의 다수가 서식하는 곳이다. 그뿐만 아니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최대 흡수원이기도 하다(참고자료 보기). 

    coral bleaching.jpg
    (c) NOAA

    또한 이 연구는 심해의 기후변화 취약성이 해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 예컨대 태평양 동부 심해의 생물다양성은 용존산소량 감소에 취약한 반면, 인도양 심해는 산성화에 더 취약하다는 것이다. 이는 기후변화가 바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미국의 국립대기과학연구소(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의 연구진은 2100년까지 해양의 용존산소량 변화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았다(참고자료 보기). 이들의 예측에 따르면, 빠르면 15년 이내에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의 용존산소 결핍이 확산될 전망이다. 용존산소량이 감소하면 대기로부터 용해되는 산소나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방출되는 산소에 의존하는 해양생태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해양 표층수의 수온이 상승할수록 해수의 순환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참고자료 보기). 

    “제가 느끼는 것은 슬픔보다는 분노에 가깝습니다. 저는 정부가 우리가 1998년부터 제공하고 있는 정보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는 현실에 화가 납니다.” 1998년부터 지금까지 세 차례 발생한 대보초의 광범위한 백화 현상을 지켜봐 온 테리 휴즈 교수의 말이다.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증거는 차고 넘친다. 그리고 우리는 기후과학을 이해하는 것보다 ‘행동’이 앞서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기후변화행동연구소 김희윤 연구원).

엮인글 0 http://climateaction.re.kr/news01/168963/f8d/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2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650 2018.02.13
2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594 2017.09.04
2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275 2017.04.28
2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6069 2017.04.27
2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449 2016.05.18
2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689 2016.05.1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9270 2016.05.18
2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7806 2016.04.21
2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494 2016.04.21
2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978 2016.03.23
2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633 2016.03.21
2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359 2015.11.11
27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5933 2015.08.02
27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290 2015.08.02
27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873 2015.05.13
27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198 2015.05.13
27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866 2014.12.15
27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1260 2014.12.14
27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0559 2014.12.14
27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9259 2014.11.22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