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8/09 제4회 기후행동세미나 <기상재해의 인명ㆍ재산피해, 어떻게 줄일 것인가?>가 열렸습니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4223, 2010.11.18 15:53:57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7월 20일, 환경재단 레이첼 카슨 홀에서 제4회 기후행동세미나 <기상재해의 인명ㆍ재산피해, 어떻게 줄일 것인가?>가 열렸습니다.

    아주대 예방의학교실 명형남 연구원이 "기상재해로 인한 사망자 분석결과와 시사점"에 대해서,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준관 선임연구원이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적응의 동향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를 해주었고, 보건 및 방재분야 전문가들이 토론을 진행해주셨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명형남 연구원에 따르면, 자연재해 발생빈도는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재해 당 지속기간이나 인명피해의 규모가 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는 도시보다는 농어촌이, 내륙지역보다는 해안지역이, 여성보다는 남성이, 영유아보다는 노년층의 인명피해가 크며, 기상재해 유형별로는 태풍과 홍수가 가장 큰 피해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사망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가 필요한데, 아직까지 국내에는 그런 정보를 관리하는 역학 프로그램이 없어,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관리가 미흡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명형남 연구원은 기상재해에 대비한 국민행동지침과 종합적인 건강관리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이야기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안준관 선임연구원은 지난 10년간 기상재해로 인한 재산피해 중 90%를 차지하는 것은 사회기반시설이며, 이중에서도 도로, 하천, 소하천에 관련된 시설물 피해가 가장 크고 빈번하게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 등 초대형 태풍으로 인해 강원도와 경상남도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고, 전국에 걸쳐 크고 작은 피해들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수많은 인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도로나 하천시설 같은 사회기반시설이 파손될 경우, 그 여파는 개인 주택이 파손되었을 때와는 전혀 다를 것입니다. 사회기반시설은 많은 인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국가의 예산으로 운영/관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기상재해에 대비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안준관 선임연구원은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적응 강화방안으로 △적응대책에 필요한 자료 축적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시스템 구축 △사회기반시설 설계기준 강화 △ 개발계획시 기후변화영향평가 △기상재해 사전예측체계 구축을 꼽았습니다. 또한 피해가 많이 일어나는 소하천을 생태적인 하천으로 바꾸고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관련 인력 및 전담부서도 신설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토론자로 나온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의 심재현 연구실장은 방재현장에서 경험한 생생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국내 방재정책의 개선점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송창근 국립환경과학원 박사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가 부족했다며, 앞으로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강화하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정확한 정보전달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경기개발연구원의 고재경 연구위원은 “ 2001년 1만여 가구가 침수되는 물난리를 겪었던 광진구는 빗물저류조, 빗물펌프장 설치, 노후 하수시설물 정비와 함께 지역주민이 수해예방시설 가동상태 관리, 빗물받이 관리에 참여하는 시스템을 구축을 통해 수해예방 모범사례로 인정을 받고 있다”며 적응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투자와 민관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엮인글 0 http://climateaction.re.kr/act01/617/51b/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223 2010.11.18
태그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