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케치] 제3차 시민정책포럼 " 기후변화와 블록체인 거버넌스"
  •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조회 수: 16315, 2018.03.28 13:53:26
  • Forum.jpg 

    지난 2018316일 기후변화행동연구소는 주식회사 아도스와 국토환경연구원과 공동으로 기후변화와 블록체인 거버넌스(1)’을 주제로 제3차 시민정책포럼을 개최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의 박훈 연구위원의 사회로 진행된 1부에서는 먼저 아도스의 이승원 대표가 블록체인 기술,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블록체인 기술 개요, 해시함수의 이해, 블록의 구조, 새로운 블록 찾기(작업증명), 위변조가 왜 어려운가? 비트코인 세부 동작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 기반 기술 분류, 블록체인 기술 insight 등 블록체인 기술 내용과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면서 블록체인기술의 장점인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잘 살리는 분야에서의 적용을 강조했다.


    다음으로 국토환경연구원의 김남수 박사는 에너지 환경 문제 해결에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려고 시도 중인 아이디어 몇 가지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블록체인기술의 확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에너지환경문제에 대해서도 주목하기를 제안했다. 그 예로 현재 비트코인채굴산업이 일으키고 있는 에너지환경문제를 소개하면서, 향후 블록체인이나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이 확산되면서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된다면, 그 기술 사용 중 에너지 이용뿐 아니라 설비와 인프라의 생산과 폐기 과정 및 생활방식 변화로 인하여 에너지 환경문제가 더 악화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블록체인 기술이 어디에 기여해야 하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성찰적 접근과 균형이 필요하며, 분야 간 협업을 기반으로 사회적으로 유의미한 주제를 정하여 작은 실험을 하며 그 결과를 공유하고 기록해야 하고, 관련 연구나 시범 지원 시 ICT 자체의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와 ICT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도록 원칙과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 번째로 기후변화행동연구소의 최동진 소장은 기후행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의 가능성을 주제로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기여할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관련하여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먼저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을 고려할 때 블록체인 기술을 잘 이용하려면 정보의 분산과 공유를 통해서 생기는 이득이 커야 하고, 사용자 가치를 우선해야 하며 참여자들의 현실적인 보상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고, 분산형 서비스 모델에 초점을 맞춘 설계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지역 화폐, 재생에너지 거래, 및 탄소 배출권 거래에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려는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누가 빨리 도입하는가 또는 누가 더 좋은 기술을 사용하는가보다는 누가 어떤 목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가가 더 중요하므로 블록체인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려면 집단 지성, 거버넌스, 사회적 경제가 주요한 키워드가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2부에서는 경기연구원의 고재경 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토론이 진행되었다.


    토론에서 기후변행동연구소의 박현정 부소장은 에너지 소비가 급증할 위험이 있지만 복잡한 유통단계가 단순화되면서 에너지 낭비와 폐기물을 줄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블록체인기술의 도입은 신중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블록체인 기술이 탄소배출 거래와 관련해서 거래의 투명성 향상과 이중계산 방지 등에 이바지할 수 있겠지만, 현재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는 블록체인과 무관한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기후변화 관련 거래의 활성화는 기술보다는 정책과 시스템의 개선으로 담보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기술과 관련된 역할과 과정 등이 표준화되지 않으면 카본 시장의 분산화가 곧 신뢰성 저하로 연결될 위험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임송택 에코네트워크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을 탄소거래에 활용하기 위해서 기존의 탄소거래 시장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상헌 한신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을 위하여 환경 관련 주제를 적용하는 식으로 본말이 전도될 수 있다는 박현정 부소장의 우려에 동의하며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될 분야에서 정치, 문화, 환경적 가치를 강조하기를 제안했다. 서울물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의 차동훈 센터장은 물 관련 분야를 사례로 모니터 등에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할 경우 신뢰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감지 기술과도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한편으로는 블록체인 기술이 관리 역량과 역할을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청중은 블록체인이 기술적 측면과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우려에 대해서 질문을 많이 했다. 이승원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가 매우 불확실하기 때문에 토론자들의 우려가 전혀 근거 없지는 않다고 인정했다. 반면, 기존의 PoW 방식이 에너지 비효율적인 것이 사실이지만 알고리즘을 바꾸거나 개선하여 효율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의 탈중앙화는 민주적이기는 하지만 위험할 수도 있음을 확인했지만, 현재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노드 수(전 세계 12~18천 개)가 수천만 개를 넘어서면 소수의 전횡이 어려운 민주적인 블록체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연지 서울시 에너지시민협력과장은 블록체인 기술이 인센티브에 도입된다면 기존의 탄소포인트나 에코마일리지 제도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질문했다. 이에 대해 최동진 소장은 제도 자체의 운영 비용이 절감되고 시민 참여의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고 답했다. 녹색기술센터의 성민규 연구원은 블록체인을 도입해서 관리자 없는 P2P 전력거래를 구현함으로써 스마트그리드의 성장을 꾀할 수 있지 않으냐고 질문했다. 이승원 대표는 스마트그리드의 성격에 따라서 질문에 대한 답이 다를 것으로 전망했다. 컨소시엄이나 사설(private) 블록체인에서는 시스템의 질서를 유지하는 관리자의 존재가 필수적이지만, 공공(public) 블록체인에서는 관리자의 필요성이 (전혀 없지는 않을지라도) 상대적으로 적다고 설명했다


    시민정책포럼은 지난 1, 2차 시민정책포럼과 마찬가지로 녹색전환연구소, 환경정의연구소, 시민환경연구소, 한반도발전연구원도 함께했다.

엮인글 0 http://climateaction.re.kr/act01/174512/fbc/trackback

댓글 0 ...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닉네임
9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90 2024.03.05
9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288 2024.03.04
9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56 2023.12.11
9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576 2023.12.28
9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1814 2023.12.20
9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082 2010.11.18
9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66 2010.11.29
9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87 2010.11.18
9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187 2010.11.18
8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239 2010.11.18
88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54 2010.11.18
87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76 2010.11.29
86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386 2010.11.18
85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502 2010.11.18
84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617 2010.11.29
83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728 2011.01.26
82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03 2011.01.10
8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844 2010.11.18
80 기후변화행동연구소 3935 2011.07.29
79 기후변화행동연구소 4001 2010.11.18
태그